언어/C언어 38

[C언어] 포인터

int a, b; //a와 b둘다 int형 정수다 int* a, b; //a는 포인터이고, b는 int형정수다 int* a, *b; //a와 b 둘다 포인터이다//포인터 변수는 직접적을 주소를 대임하면 안된다 /* 초기화는 가능방법: 1. int * p = 0; 2. int * p = NULL;*/    포인터 변수#includeint main(void) {int a = 100; int* p; p = &a; printf("a는 %d, a주소는 %d p는 %d *p는 %d \n", a, &a, p, *p); int b = 200; p = &b; printf("b는 %d, b주소는 %d p는 %d *p는 %d\n", b, &b, p, *p); return 0;}   포인터 변수 char   #include..

언어/C언어 2025.03.03

[C언어] 메모리 주소값 출력

#includeint main(void) { int a = 10; int b = 20; //10진법 표시 %d printf("변수 a의 주소는 %d입니다.\n", &a); printf("변수 b의 주소는 %d입니다.\n", &b); //16진법 표시 %p printf("변수 a의 주소는 %p입니다.\n", &a); printf("변수 b의 주소는 %p입니다.\n", &b); return 0;}     배열의 주소값배열 int는 4배열당 4byte씩 증가 #includeint main(void) {int a[3] = { 10, 20, 30 }; printf("a[0]의 값은 %d , a[0]의 주소값은 %d \n", a[0], &a[0]); printf("a[1]의 값은 %d , a[1]의 주소값은 %d ..

언어/C언어 2025.03.03

[C언어] 메모리주소

short(2 byte) / int(4 byte) / float(4 byte) / double(8 byte) / char(1 byte) int a = 10; ===⇒ &aint b = 20; 메모리 1. & : 주소연산자 (16진법으로)2. *  : 포인터 선언 연산자 배열 그 자체는 메모리 주소다- 전체 배열일때는 &를 안붙여도 주소값이 나온다- 각기 배열일때는 & 붙인다 배열이 안붙으면 &가 필요하고  int a = 1; char ch = 'a'; printf("a는 %d\n", a); printf("ch는 %c\n", ch); printf("a 주소값%d\n", &a); printf("ch 주소값 %d\n", &ch); int b[3] = {1,2}; char chc[3] = {'a','b'}; p..

언어/C언어 2025.03.03

[C언어] 배열(array) / 문자열 받기 gets() /문자열 출력 puts()

문자열 받기 gets()#includeint main(void) { /* 문자열 함수 #include */int resul_7 = array_char_7(); //문자열 입력 받는 함수 : gets() return 0;}int array_char_7() { printf("----------- array_char_7 시작 -----------\n"); /* 문자열 입력 받는 함수 : gets() *scanf와 다른점 gets는 null도 받는다 */ char ch[20]; char ch1[20]; int r1, r2; printf("문자를 입력해 주세요"); gets(ch); printf("문자를 입력해 주세요"); gets(ch1); r1 = strlen(ch); r2 = strlen(ch..

언어/C언어 2025.03.03

[C언어] 배열(array) / 문자열 길이값 strlen() / 문자열 복사 함수 strcpy() /문자열 연결 함수 strcat()/ 문자열 비교 함수 strcmp()

문자열 길이값 strlen()#includeint main(void) { /* 문자열 함수 #include */ int resul_3 = array_char_3(); //문자열 길이값 찾기 return 0;}int array_char_3() { printf("----------- array_char_3 시작 -----------\n"); /* 문자열 길이 찾기 strlen() */ char ch[] = "abc"; int len; len = strlen(ch); printf("문자열의 길이값 %d\n", len); printf("----------- array_char_3 종료 -----------\n");}    문자열 복사 함수 strcpy()#includeint main(void) { /* ..

언어/C언어 2025.03.03

[C언어] 배열(array) / 문자형 배열

문자형 배열(= 문자열)문자형 배열(=문자열) :char c[3] = {’a’, ’b’, ’c’} —> 문자형은 이렇게하면안됨방법 —> char c[4] = {’a’, ’b’, ’c’, \0’} 또는 char[4] = “abc” 라고함  #includeint main(void) { //문자형 배열 int resul_1 = array_char_1(); return 0;}int array_char_1() { char ch[14] = "C-Programming"; int i; for (i = 0; i     중간 배열 수정#includeint main(void) { //문자형 배열 int resul_1 = array_char_1(); return 0;}int array_char_1() { char ch[14]..

언어/C언어 2025.03.03

[C언어] 배열(array) / 배열 크기 구하기 sizeof() / 정수형배열

배열 크기 구하기 sizeof()배열의 크기를 구하기 sizeof() //배열의 길이값을 선언(정적), 한번 선언하면 변하지 않음, 그대로 메모리에 고정 #includeint main(void) { int resul_5 = array_5(); //배열의 크기를 구하기 sizeof() return 0;}int array_5() { printf("----------- array_5 시작 -----------\n"); /* 배열의 크기를 구하기 sizeof() //배열의 길이값을 선언(정적), 한번 선언하면 변하지 않음, 그대로 메모리에 고정 */ int number[] = { 10, 20, 30, 40,50 }; int count; count = sizeof(number) / sizeof(int); ..

언어/C언어 2025.03.03

[C언어] 배열(array) / 배열 초기화 / 배열for / 정수형배열

배열변수 여러 개를 나란히 나열한 것  배열은 아니지만 첫스텝#includeint main(void) { int resul_1 = array_1(); return 0;}int array_1() { int a, b, c, d; int sum; printf("1번째 숫자 : "); scanf("%d", &a); printf("2번째 숫자 : "); scanf("%d", &b); printf("3번째 숫자 : "); scanf("%d", &c); printf("4번째 숫자 : "); scanf("%d", &d); sum = a + b + c + d; printf("합은 : %d\n", sum);}   배열로 만들기#includeint main(void) { int resul_2 = array_2(); retu..

언어/C언어 2025.03.03

[C언어]while / 1부터 10까지 합 / 무한 루프

while초기값while(조건문){증가값}  #include int main(void) { int result_2 = testWhile_1(); //while return 0;}int testWhile_1() { printf("----------- testWhile_1 시작 -----------\n"); int i = 0; while (i     while 1부터 10까지 합 구하기#include int main(void) { int result_3 = testWhile_2(); //while return 0;}int testWhile_2() { printf("----------- testWhile_2 시작 -----------\n"); /*while 이용하여 1부터 10까지 더하기*/ int sum =..

언어/C언어 2025.03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