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2002.06.13]
- 계정 생성 시 관련 파일
- /etc/login.defs ← 기본 사용자 정보 정의
- /etc/skel ←사용자 셸 환경 설정 파일
- 사용자 정보 변경
#usermod [옵션] [설정값] [계정명]
<옵션>
-l : 사용자 계정
-u : UID
-g : GID
-c : 설명
-d : 사용자의 홈디렉토리
-s : 셸 종류
- 패스워드 정보 변경
#chage [옵션] [설정값] [계정명]
<옵션>
-l : 사용자 패스워드 설정 정보 출력 소문자(l(엘)임)
-m : 최소 변경일
-M : 최대 유효기간
-W : 만료 경고일
-I : 비활성화 기간 (대문자 I(아이) 임
-E : 계정 만료 기간
<login.defs>
PASS_MAX_DAYS 999 ← 패스워스 최대유효기간
PASS_MIN_DAYS 1 ← 패스워드 최소 변경가능일(1이면 24시간이후 변경 가능 , 0이면 언제든 가능)
PASS_MIN_LEN 5 ← 패스워드 최소 길이
PASS_WARN_AGE 10 ← 패스워드 만료 경고일
패스워드 계정 관리 /etc/passwd
Account : 계정
Password : 패스워드 지정
User ID : 사용자 ID
Group ID : 그룹 ID
Commnet : 설명
Home DIr : 사용자 홈
Shell : 셸 종류
패스워드 계정 관리 /etc/shadow
6이 SHA-512라고 했다
vi /etc/shadow 보면
$6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SHA-512로 암호화 되었따는 의미 그 다음 $이하는 random salt값
그 이하 $는 암호화된 password 값이다
해쉬함수의 비트값이 높아질 수록 충돌확률이 낮아진다
값은 갑이여도 결과값이 다른값이 나올 확률이 높아지기도 한다
→생일 역설
그리고 mysql들어가서 어떤 해시함수를 쓰는지 보자
'보안 > 시스템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시스템 보안] 패스워드 계정 관리 실습 UID 관련 (0) | 2025.02.03 |
---|---|
[시스템 보안] 계정 생성 시 관련 파일 (0) | 2025.02.03 |
[시스템 보안] 계정 및 패스워드 관리2 비밀번호없이 들어가보고 파일 설정 확인해보기 / 비밀번호 상태 확인 하기 (0) | 2025.02.03 |
[시스템 보안] 계정 및 패스워드 관리 (0) | 2025.01.30 |
[시스템보안] 위험 (0) | 2025.01.26 |